본문 바로가기

study-에펙/기초편

에프터이펙트 강좌, 에펙의 시작 컴포지션 설정하기

 

에프터이펙트 강좌를 오랜만에 하게 되네요~ 혹시 기다리신 분은.. 없겠죠ㅋ 이번 포스팅부터 본격적인 에프터이펙트 실습에 들어가고 이론은 이제 그만~하려고 했으나..^^; 먼저 컴포지션 설정 하나만 하고 갈게요.

 

 

에프터이펙트를 가지고 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컴포지션이 있어야 합니다.

필요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불러오면 자동으로 만들어지긴 하지만 나중에 더 복잡하고 귀찮아집니다.
컴포지션을 만든다는 의미는 간단하게 말해서 연필이나 붓으로 그림을 그리기 전에 도화지를 한 장 깔고 그림 작업을 한다고 생각하면 돼요. 책상이나 방바닥에 대고 그림을 그리면 안 되겠죠^^
그래서 항상 에프터이펙트를 시작할 때는 컴포지션을 만들어 주고 간다는 거 잊지 마세요~!



자 그럼 컴포지션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뉴에 있는 Composition(컴포지션)을 클릭하면 New Composition이 나옵니다.


New Composition을 클릭하면 'Composition Settings'이라는 창이 하나 뜰 거예요.
여기서 컴포지션 설정값을 정하면 되는데요.


 

맨 처음 이름을 설정해야 하겠죠. Composition Name은 현재 Comp 1으로 되어 있습니다.
원하는 이름으로 바꾸고 난 뒤 OK를 누르면 컴포지션이 만들어집니다.

저는 '컴포지션 설정하기'라고 할게요. 귀찮으면 원래 있는 Comp 1이라고 해도 돼요^^

 

그다음에 Basic과 Advanced라는 두 가지 탭이 보입니다.


각각에 설정값을 넣어 줄 수 있는데요. 이번에는 에펙의 기본 설정인 Basic탭에 대한 내용만 알아보고 Advanced탭은 에펙응용 해당 포스팅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때까지 기다려주세요. 지금 물어보셔도 안알랴줌ㅋㅋ



Basic탭에서는 Preset, Width, Height 등 여러 가지 값이 나옵니다.
먼저 Preset에 대해 알아볼게요. 프리셋(Preset)은 미리 지정된 화면의 값과 프레임 값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Preset밑에 보면 Width(가로 폭)와 Height(세로 높이)가 보일 텐데요. 여기서 화면의 가로 크기와 세로 크기를 입력해도 되지만 Preset을 이용해 미리 설정된 수치로 쉽게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본인이 임의로 필요한 화면크기가 있으면 Preset을 이용하지 않고 Width와 Height의 옆에 있는 수치를 마우스로 클릭해서 직접 가로값과 세로값을 입력해도 됩니다.


일단은 Preset에 있는 역삼각형 버튼을 눌러볼게요. 버튼을 클릭하면 미리 설정된 값이 나옵니다. 여러 가지 값이 나오는데요. 원하는 것을 선택해도 되지만 강좌의 통일성을 위해 HDV/HDTV 720 29.97을 선택할게요.

HD화면에 가로 1280px, 세로 720px 값이 나오고 프레임은 29.97이라는 뜻입니다.


그다음 Pixel Aspect Ratio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ixel Aspect Ratio은 픽셀의 가로세로 비율을 지정하는 건데 일단 기본값인 Square Pixels로 선택하겠습니다.

 

이제 Frame Rate값을 숫자 옆에 있는 역삼각형 버튼을 눌러서 29.97로 선택할게요.

Frame(프레임)은 영화나 비디오에서는 한 장면을 말할 때 사용하는 용어인데요. Frame Rate는 1초당 몇 개의 장면(Frame)이 나오는지를 정해주는 거예요. 우리가 보는 영상은 수십장의 정지장면 혹은 사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도 알아두시며 좋을 것 같아요.


화면과 픽셀, 프레임에 관한 내용은 영상편집과정을 통해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할게요. 이것도 아직은 안알라줌이에요^^



Resolution은 화면에 픽셀의 비율을 정해주는 해상도를 말합니다.
Full, Half, Third, Quarter, Custom 순으로 나와있는데요. 아래로 갈수록 화면이 흐려지지만 컴퓨터 속도는 빨라집니다. 에프터이펙트 효과를 많이 넣고 나서 컴퓨터 사양이 부족할 때 많이 사용하는데요. 지금은 단순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지금은 Full을 설정할게요. 벌써부터 컴퓨터 사양이 부족해서 느려진다는 분은 없겠죠^^ 혹시 있다면 포기하지 말고 해상도 팍팍 낮춰서 해봐요~ㅎ

 

Start Frame은 타임라인에서 처음 프레임의 시작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몇 프레임부터 시작할지를 정하는 건데요.
여러개의 컴포지션을 사용해 정교하고 복잡한 작업을 할 때 사용합니다.
지금은 기본값인 0;00;00;00을 그대로 설정하겠습니다.

 

Duration은 타임라인에 작업할 시간범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아래화면에 보면 Duration에 30초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세미콜론(;)을 기준으로 맨 앞에서부터 시간, 분, 초, 프레임으로 나뉩니다. 에프터이펙트는 보통 초와 프레임 단위로 많이 작업을 합니다. 나중에는 분단위로 할 경우도 생기는데요. 분단위로 가면 컴퓨터가 서서히 느려지기 시작합니다~

좋은 컴퓨터는 조금 낫겠죠~ㅋ



일단 지금은 10초로 설정할게요.

이렇게 시간을 설정해두는 이유는 다음 포스팅에서 바로 실습에 들어가기 위해서입니다^^


마지막 설정값이 남았죠.
Background Color입니다. 색상부분을 클릭하면 화면의 바탕화면을 원하는 색상으로 정해줄 수가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색상을 바꿔주면 되지만 보통은 검은바탕을 많이 하기때문에 여기서는 그대로 black값을 사용할게요.


 

이제 OK를 누르면 설정된 값이 저장됩니다.

 

프로젝트(Project) 패널에 '컴포지션 설정하기'라는 Composition이 하나 만들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 화면에 검은색 배경만 휑~하니 보이는데요^^
다음시간부터는 에펙의 모션예제를 통해 빈 여백을 하나씩 채워 볼게요~


오늘은 컴포지션 설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에프터이펙트로 뭔가를 만들 때는 반드시 컴포지션이 필요하다는 거 잊지 마세요^^